728x90
이 문제도 직업상담사에 종종 나오는 문제입니다!
유형은 [[현탐예사진관]]
현실형 R, 탐구형 I, 예술형 A, 사회형 S, 진취형(기업형)E, 관습형 C입니다
이렇게만 봐서는 모르죠!
검사는 한번 해보는것이 이해할때 가장 도움이 됩니다
윤리적으로도 개인이 사서 하는것 보다는
심리평가는 전문적인 교육과 수련을 받은 "임상심리전문가" 혹은 "정신건강임상심리사"에게
검사 실시+해석 받으시는것이 당연한겁니다.
하지만 워크넷에도
직업관련된 검사를 해볼 수 있어요!
성인 심리검사를 클릭하셔서
직업선호도 L형으로 선택하세요
바로가기>> www.work.go.kr/consltJobCarpa/jobPsyExam/aduPreLNewDetail.do?tabIdx=example
검사를 해보시고, 결과표를 꼼꼼히 읽으면서 나를 떠올린다면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기업형), 관습형이 뭔지 기계적으로 외우지 않아도 되겠죠??
이건 직업상담사 실무에도 유용하게 쓰이니.
워크샵 들어두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300x250
'직업상담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적인 심리검사 결과가 나온 내담자에게 결과를 통보해야한다면? (0) | 2021.03.25 |
---|---|
로저스(가끔 패터슨도 나오는) 상담자가 갖추어야할 태도, 자질 3가지. (0) | 2021.03.25 |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아들러의 생활양식 (0) | 2021.01.23 |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정신분석의 불안의 형태 (0) | 2021.01.22 |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리프탁의 자발적 실업을 경험한 내담자가 보이는 비합리적 신념 (0) | 2021.01.22 |